카카오페이, 온라인 금융 플랫폼 규제 강화에 상장 또 밀리나
Koiners다음 증권

카카오페이, 온라인 금융 플랫폼 규제 강화에 상장 또 밀리나

문지훈 기자 입력 : 2021-09-10 00:10:00
  • 공모가 고평가 논란 상장 한 차례 미뤘는데 '규제 리스크' 부각

  • 증권신고서 정정시 상장 연기 불가피…투자심리 악화 영향 IPO 흥행 실패 가능성도

[사진=카카오페이 제공]


증권신고서 정정으로 한 차례 상장 일정이 밀렸던 카카오페이가 또다시 암초를 만났다. 온라인 금융 플랫폼에 대한 규제 강화 이슈가 현재 공모가에 반영되지 않은 만큼 금융감독원이 다시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초 일정대로 상장을 추진해도 기관 수요예측 및 일반투자자 청약 흥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다음 달 14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오는 29일부터 2일간의 기관 수요예측을 거쳐 다음 달 5일부터 6일까지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2014년 국내 최초로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페이는 현재 대출 비교 및 펀드와 보험 등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투자 및 대출, 보험 등 금융 서비스 매출 비중은 2019년 2.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2.7%로 늘어난 상태다.

그러나 기관 수요예측을 약 3주 앞둔 상황에서 규제 리스크가 부각됐다. 금융당국이 최근 온라인 금융 플랫폼의 투자 및 보험 상품 추천 서비스가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위반이라고 판단하면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7일 점검반 회의를 개최해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등 온라인 금융 플랫폼의 서비스 사례를 검토했다. 검토 결과 금융당국은 이들 온라인 금융 플랫폼이 제공하는 투자·보험 상품 추천 서비스에 대해 '광고'가 아니라 '중개'로 보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이들 온라인 금융 플랫폼이 관련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에 금융상품판매대리·중개업자로 등록해야 한다. 금소법 계도기간이 종료되는 오는 24일 이전까지 등록하지 않을 경우 제재를 받는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페이는 "현재 자체적으로나 자회사를 통해 필요한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등 제도적 요건을 준수하며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금융위 발표에 맞춰 소비자보호 관점에서 추가로 보완할 부분이 있을지 적극적으로 검토해 반영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증권신고서 정정으로 카카오페이의 상장 일정이 또 한 차례 연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금감원으로부터 이번 규제 방침에 대한 내용을 반영해 다시 제출하라는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페이는 이미 공모가 고평가 논란에 이미 증권신고서를 정정하고 상장 일정을 한 차례 연기한 바 있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7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IPO를 추진했으나 금융당국이 '비교그룹 적정성' 등을 이유로 정정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에 카카오페이는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를 기존 6만3000~9만6000원에서 6만~9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기존 상장 일정대로 IPO를 추진하더라도 온라인 금융 플랫폼에 대한 투자 심리 악화로 기관 수요예측을 비롯해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도 흥행 기대감이 기존보다 낮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의 금융상품 판매 중단 뉴스는 소비자 편익 중심 정책의 최대 수혜자였던 플랫폼 기업과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페이와 관련한 규제 리스크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는 사용자 환경(UI) 개선 및 자회사 라이선스를 활용해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서비스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며 "펀드 판매는 카카오페이증권, 대출 중개는 혁신금융 서비스(샌드박스) 적용으로, 보험 판매는 자회사 KP보험서비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빅테크 규제를 강화하자는 논의가 단기적으로 규제 관련 불확실성을 높여 기업가치에 부정적일 수 있지만 매출 성장성과 영업 레버리지 강화 추세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