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물가 상승률 0.7% 전망…구조적 요인이 상승 압력 낮춰"
Koiners다음 종합

"연간 물가 상승률 0.7% 전망…구조적 요인이 상승 압력 낮춰"

안선영 기자 입력 : 2019-09-05 10:09:05
  • 올 1~8월 중 소비자물가 0.5% 상승에 그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구조적 요인들이 중장기적으로 물가상승 압력을 낮춘 영향이다.

4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과 시사점'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는 올 1~8월 중 0.5%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하반기에도 이러한 흐름이 지속돼 연간 물가 상승률은 0.7% 내외로 예상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하회한 것은 1999년, 2015년에 이어 세번째다.

국내 경기가 부진한 데다 국제 유가 하락, 복지정책 확대 등으로 공급 측 물가 압력도 낮아진 것이 최근 저물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근원물가 상승률이 1%까지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우리 경제의 내재적인 물가압력이 낮아지고 있다.

해외 요인과 정책 요인을 중립적으로 가정할 때 GDP갭률과 기대인플레이션의 추가 하락에 따라 근원물가지수 상승률의 둔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근원물가지수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을 후행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물가가 지속될수록 기대인플레이션의 하락속도는 더욱 빨라지게 된다.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 가장 큰 요인은 우리나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령화와 가계부채 증가 등 구조적인 변화들이다.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생산성 저하로 경제성장이 낮아지고 수요가 둔화돼 저물가를 유발한다. 고령 인구는 생산가능 인구에 비해 소비성향이 낮아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민간소비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도 수요를 둔화시키고, 물가 상승을 억제한다.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소비여력이 줄어들고, 저성장·저물가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부채 상환부담도 커지게 된다.

온라인 거래와 해외 직구 증가 등 소비채널의 변화도 공산품을 중심으로 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의 황나영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과잉 생산, 경쟁 심화, 기술 혁신도 공급 측면에서 저물가의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며 "현재 우리나라의 저물가 상황은 1990년대 일본과 차이가 있지만, 고령화 속도와 디플레이션 갭의 존재 등 과거 일본과 유사한 구조적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어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