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시 공공서비스 개인 맞춤형으로 받는다
Koiners다음 기타

내년부터 서울시 공공서비스 개인 맞춤형으로 받는다

김두일 선임기자 입력 : 2022-09-27 14:07:57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행정 본격화

[사진=서울시]

#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서울 광진구에 사는 20대 김모씨는 야간근무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서울톡' 알림을 확인한다. "청년수당 신청 대상입니다. '청년몽땅정보통'에서 신청하세요”라는 '서울톡'이 왔다. 그는 서울톡을 통해 청년수당 신청 대상이란 사실을 알았다. 김씨는 '청년몽땅정보통'에 로그인해 청년수당을 신청했는데 증빙서류 제출도 없이 간편했다. 평소 IT 개발자가 되고 싶었던 김씨는 서울시 청년취업사관학교 교육을 원클릭으로 신청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사업이 더 있는지 둘러본다. 그랬더니 영테크, 청년인턴 고용, 청년마음건강지원 등 서울시 청년사업이 한눈에 들어왔다. 

청년수당,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등 서울시 정책 대상에게 시가 관련 정보를 미리 제공하고 신청까지 도와주는 서비스가 도입된다. 서울시가 실시하고 있는 여러 정책 가운데 본인이 지원 대상이 되면 카카오톡 등을 통해 자동으로 안내받고, 무(無)서류‧무(無)방문으로 한번에 신청까지 가능해지는 것이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 예측형 행정으로 시민 개개인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서울’을 구축한다.

앞서 시는 지난 3월부터 자체 실무협의(TF)팀을 구성해 6차례 회의와 7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어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방향 △선결 과제와 고려사항 △기술 동향 △서비스 대상·범위 등을 중앙정부와 논의했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은 분야별로 산재돼 있는 행정정보를 연결하는 통합관리체계다. 축적된 행정‧민간 데이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더했다. 게다가 대상자별로 필요 공공서비스를 먼저 파악해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이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관심 정보에 대한 단순 알림 서비스에서 한 단계 진화한 방식이다.

이렇게 되면 분야별, 기관 간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고 이용자가 서비스를 신청하는 데 필요한 서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무(無)방문·무(無)서류 민원 처리도 가능해진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의 주요 서비스는 △한곳에서 서울의 모든 정보를 통합 제공 △한곳에서 모든 민원‧공공서비스 해결 △한곳에서 나에게 맞는 서비스 자동 제공 등 일거삼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령 시민이 원하는 모든 공공정보와 서비스를 위해 분야별 행정정보를 연계하고,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검색 서비스를 해준다. 시각·음성 검색도 할 수 있다. 

기관 간 서류 데이터 연계, 디지털 전환(비대면 자격 확인‧개인 맞춤형 정보 등)으로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최소화한 것도 특징이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서울시 대표 채팅로봇 '서울톡'으로 안내·상담과 신청, 결과도 시민에 제공해 준다. 

아울러 민간 및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서울시의 모든 보조금과 공공서비스를 시가 알아서 신청하고 가능한 서비스를 알람으로 발송하고 신청할 수 있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서울시, ‘청년몽땅정보통’ 내년에 시범 운영
이 시스템은 내년부터 서울시 ‘청년몽땅정보통’에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청년몽땅정보통’은 청년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민간 데이터 등 다양한 플랫폼 간 데이터를 수집‧연계‧결합해 맞춤형 청년정책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시는 청년 등 특화 분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교육, 복지, 교통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모든 청년정책 관련 통합 검색 기반이 조성된 해당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심 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시범 적용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청년몽땅정보통’의 기존 데이터(청년몽땅정보통)+민간 데이터(통신, 카드·금융 등) 결합·분석을 통해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고 서비스 제공 기준, 내용, 수혜자 등을 학습한 AI 연산방식(알고리즘)을 개발해 서비스 대상을 판단해 알려준다. 
 
이혜경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디지털 플랫폼 서울을 구축하기 위한 선결 과제가 다수 존재하지만 청년 등 서울시가 우선적으로 추진 가능한 특화 분야부터 개인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우선 발굴해 시민들에게 서비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