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돋보기] 실리콘밸리와 언론이 만든 괴물 '홈스의 테라노스'
Koiners다음 아주PICK

[아주 돋보기] 실리콘밸리와 언론이 만든 괴물 '홈스의 테라노스'

정석준 기자 입력 : 2022-01-10 15:29:50
  • 홈스 테라노스 CEO, 질병 진단 신기술로 실리콘밸리 일약 스타 등극

  • 사기 들통난 홈스, 포브스 선정 '자수성가형 여성 1위→자산 0원' 몰락

  • 테라노스 품은 실리콘밸리의 악습과 홈스 띄운 언론의 허점 드러나

미국 바이오 벤처기업 ‘테라노스’가 실리콘밸리 역사상 최대 사기극으로 드러났다. 창업자인 엘리자베스 홈스는 ‘여자 잡스’에서 희대의 사기꾼으로 지탄받지만, 일각에서는 실리콘밸리의 관행과 언론의 맹목적 띄우기도 이번 사태에 한몫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리콘밸리 역대급 사기로 들통난 '테라노스 스캔들'

바이오벤처 '테라노스'의 창업자 엘리자베스 홈스 [사진=AP연합뉴스]

10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배심원단은 지난 3일 테라노스 사기 사건으로 기소된 홈스의 사기, 공모 등 4건의 혐의에 대해 유죄를 평결했다.

홈스는 19살이던 지난 2003년 스탠퍼드대를 중퇴하고 테라노스를 설립했다. 테라노스는 혈액 몇 방울로 암을 비롯한 200가지 이상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하며 실리콘밸리에서 주목받는 스타트업으로 떠올랐다.

홈스는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를 연상시키는 검은 터틀넥 셔츠를 즐겨 입어 ‘여자 잡스’로 불렸다. 홈스와 잡스는 대학을 중퇴하고 젊은 나이에 창업에 뛰어들었다는 공통점도 있다. 경제매체 CNBC는 홈스가 쓴 메모 중 '스티브 잡스 되기(Becoming steve jobs)'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테라노스의 기술력과 홈스의 화제성은 정‧재계로부터 관심을 끌었다. ‘미디어 업계’ 거물인 루퍼트 머독 뉴스코퍼레이션 설립자, 래리 엘리슨 오라클 창업자, 월마트를 운영하는 월튼 패밀리 등이 테라노스에 투자했고 그 금액은 9억4500만 달러(약 1조1300억원)에 달했다.

2013년에는 미국 대형 약국 체인 월그린이 테라노스가 개발한 혈액 분석기구 ‘에디슨’을 40여개 매장에서 이용하기로 계약했다고 밝혔다. 2014년 테라노스는 투자 라운드에서 기업 가치가 90억 달러(약 10조8000억원)에 이른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라노스 이사진에는 헨리 키신저·조지 슐츠 전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윌리엄 페리 전 국방부 장관 등이 참여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벳시 디보스의 가족도 테라노스에 투자했다. AP통신은 홈스의 프레젠테이션 솜씨가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매혹했다고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15년 부통령 재임 중 테라노스 실험실을 방문한 바 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테라노스의 기술은 영감이다. 홈스가 해낸 일은 나에게 놀라운 일이다”라며 테라노스를 극찬했다.

하지만 2015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라노스가 주장하는 진단 기술의 결함을 잇달아 지적하며 사기극이라고 꼬집었다. 테라노스 관계자는 WSJ을 통해 “에디슨 기계는 전체 테스트 중 일부에서만 사용되며 대부분은 경쟁업체 장비에서 처리됐다”고 폭로했다.

당국은 테라노스가 미승인 나노데이터를 사용하는 데 문제를 제기하고, 관련 시설이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즉각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논란 이후 홈스는 이내 몰락하기 시작했다. 2015년 포브스가 선정한 ‘미국의 자수성가형 여성 60인’ 중 1위를 차지했던 홈스는 이듬해 명단에서 제외됐다. 홈스 재산 추정액은 45억 달러(약 5조4000억원)에서 1년 만에 0달러로 곤두박질쳤다. 결국, 테라노스는 2018년 검찰이 홈스와 관계자들을 사기 혐의로 기소하면서 문을 닫았다.
 
테라노스 품은 실리콘밸리와 홈스 띄운 언론의 허점

엘리자베스 홈즈를 다룬 포브스의 커버 [사진=포브스]

일부 외신은 촉망받는 기업 CEO였던 홈스가 사기꾼으로 전락한 과정에서 실리콘밸리와 언론의 허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실리콘밸리에는 '될 때까지 되는 척(fake it till you make it)'이라는 말이 있다. 수많은 스타트업이 모인 실리콘밸리에서는 창업자가 사업에 성공할 때까지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다. 블룸버그 통신은 “90억 달러(약 10조8000억원)에 이르는 테라노스의 기업 가치는 이론상으로 매력적이지만 실제로 작동하지 않는 제품을 발표해서 달성한 것이다. 다른 많은 기술 회사들도 이 방법을 이용해왔다”고 분석했다.

또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전기 트럭 제조업체 니콜라가 사기 혐의와 관련해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벌금 1억2500만 달러(약 1500억원)를 내기로 합의한 사실을 예로 들며 “기술 분야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돈을 쏟아붓고 있는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악명 높은 비즈니스 전략은 진행 상황을 속이기 위해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사안에 대해 “이러한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의 관행은 지나치게 순진하고 낙관적이다. 결과적으로 홈스와 테라노스는 실리콘밸리가 낳은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실리콘밸리 업계도 스타트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우려하는 모양새다. WSJ은 현지 업계 관계자들이 홈스와 거리두기에 한창이라고 보도했다. 그레그 그레치 밸리캐피털 투자전략가는 홈스의 유죄 평결 후 SNS를 통해 “욕망, 추진력, 비전, 낙관주의는 모두 실리콘밸리 정신의 일부지만, 거짓말과 속임수는 그렇지 않다. 사기는 사기다”라며 선을 그었다.

WSJ은 “실리콘밸리 관계자들은 홈스를 예외라고 부르는 것에 기뻐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투자자들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모았던 홈스가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스타트업계의 자금 조달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이번 사기극에서 언론의 역할에 주목했다. 더힐은 “테라노스는 전 세계 대중 매체를 기반으로 기업 가치가 상승했다. 홈스가 잡지와 신문 1면과 표지를 장식하는 동안 전 국무장관과 기업 경영진들이 미끼를 물었다”고 비판했다.

다만, 더힐은 “이번 유죄 평결은 언론이 잘못을 폭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미디어는 당신을 세울 수도 있지만 무너뜨릴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좋은 저널리즘이 필요하다. 모두 좋은 이야기와 동화를 좋아하지만, 거짓말에 기초한 것이라면 무너진다”고 덧붙였다.

과학전문매체 네이처는 "테라노스 스캔들은 책, 영화 및 팟캐스트에 호화로운 사료를 제공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 이야기가 혈액 진단 회사와 기업가적 관심을 가진 과학자들에게 경고의 이야기가 되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홈스가 4건의 유죄 혐의에 대해 각 20년씩, 최대 80년 징역형이 가능하지만 이보다 낮은 형량을 선고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재판 과정에서 줄곧 무죄를 주장해온 홈스는 항소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아주경제 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