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86% “탄소중립 대응계획 없어”
Koiners다음 중기·벤처

​중소기업 86% “탄소중립 대응계획 없어”

현상철 기자 입력 : 2021-12-06 12:00:00
  • 중기중앙회, ‘2050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 37.8%는 매출액 5% 이상 추가 비용 투입해야

[사진 = 중기중앙회]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9곳 정도가 탄소중립‧온실가스 감축 대응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인력 부족과 대응 시간이 부족한 탓이다. 또 10곳 중 4곳은 탄소중립 등에 매출액의 5% 이상의 비용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이 적시에 탄소중립을 대응하기 위해 전용 전기요금제 같이 ‘그린격차’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9일부터 19일까지 352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50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응계획을 갖고 있는 국내 중소제조업체는 7.1%에 불과했다.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인 기업은 6.8%였다. ‘특별한 대응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업체는 86.1%에 달했다.

탄소중립 및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이유를 물어보니 응답기업의 58.7%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자금‧인력 부족’을 꼽았다. 이어 △탄소중립에 대하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18.5%) △저탄소 제품생산/공정전환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14.9%)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탄소중립 대응계획 수립여부 그래프 = 중기중앙회]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부담이 된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95.7%(매우 부담 50.6% + 대체로 부담 45.2%) 조사됐다. 부담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4.3%(전혀 0.3% + 대체로 4%)였다.

탄소중립으로 인해 예상되는 추가 비용은 ‘매출액의 1~5%’가 45.5%를 차지했다. △매출액의 5~10%(29.8%) △매출액의 1% 이내(16.8%) △매출액의 10~20% 이내(7.4%) △매출액의 20% 이상(0.6%)이 뒤를 이었다. 중소제조업 10곳 중 4곳(37.8%)이 매출액의 5%가 넘는 비용을 탄소중립에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추가 비용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시설교체‧설치비용(63.1%)’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인상(18.5%)과 전기요금(12.5%)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중소 제조기업의 64.2%(매우 6.5% + 대체로 57.7%)는 탄소중립 동참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정부의 2030 온실가스 40% 감축목표에 대해서는 88.4%(감축 가능하나 2030년까진 불가능 68.2% + 모두 불가능 20.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의지와 정책목표 간 괴리를 축소시킬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복수응답)으로 ‘중소기업 차등(전용) 전기요금제 마련’이 5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긴급운영자금 지원 등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28.1%) △에너지 효율 향상 기기 도입 지원(27.8%) △비용상승분 반영 위한 납품단가연동제 등 도입(26.7%) 등의 순이었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기업간 탄소중립 대응수준이 상이한 만큼, 성공적인 탄소중립 완성을 위해 △중소기업 전용 전기요금제 △납품단가연동제 등을 도입해 중소기업의 전반의 그린격차를 축소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