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모바일신분증' 첫 사업, 주인공 바뀐 이유는?
Koiners다음 IT서비스

정부 '모바일신분증' 첫 사업, 주인공 바뀐 이유는?

임민철 기자 입력 : 2020-08-09 13:23:31
  • 6월 입찰평가 1위 아이티센, 7월 협상중 수주 포기

  • 발주처가 해석한 제안서 추가 요구사항 수행 부담

정부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 구축사업을 우선협상대상자였던 아이티센 컨소시엄이 아닌 LG CNS 컨소시엄이 최종 수주했다. 아이티센 측이 이 사업 발주처의 요구사항에 부담을 느껴 수주를 포기하자 LG CNS 측이 이를 기회로 삼아 수주에 나선 모양새다.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는 공무원의 신원확인 기능을 스마트폰 하나로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온·오프라인 통합 신원인증 서비스다. 공무원들이 기존 IC카드형 공무원증 대신 스마트폰으로 정부청사와 스마트워크센터에 출입하고, 행정업무용 전산시스템에 로그인하게 해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는 오는 12월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를 운영한다는 계획으로 지난 6월 초 입찰평가 결과 아이티센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그런데 사업자 협상을 진행하다 지난달 말 평가점수 2위였던 LG CNS 컨소시엄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해 그 배경에 의문이 일었다.

당시 아이티센 컨소시엄은 아이티센이 이 서비스 구축의 주관사업자를 맡고 삼성SDS가 블록체인 솔루션 '넥스레저' 등 기술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실제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면 향후 이어질 블록체인 관련 공공사업 수주 입찰에도 유리한 경험을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계약에 앞서 진행된 아이티센과 행정안전부의 협상이 결렬됐다. 아이티센 측은 그 배경 문의에 대해 "밝힐 내용이 없다"고 답했지만, 아이티센 컨소시엄 참여사 중 한 곳과 협력하는 A사 관계자는 "발주처와 협상 중 요구사항을 수용할 경우의 추가 비용 부담 때문에 수주를 포기한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같은 문의에 발주처인 행정안전부 측은 "제안서에 담긴 사업수행 범위를 (아이티센과 행정안전부가) 서로 다르게 해석하는 '시각차'가 있었다"며 "협상 과정에서 이 차이를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고 말했다. 양측 해석이 엇갈린 대목을 묻자 "정부청사의 보안과 관련돼 있어 자세히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통상 공공IT사업의 제안요청서에 포함되는 요구사항에 맞춰 사업을 수행하더라도 IT서비스기업들이 큰 이익을 내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익이 적더라도 매출 규모를 유지하거나 정부·공공 사업의 상징성을 통해 후속·신사업에서 동력을 얻으려는 게 사업 수행 기업들의 속내다.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 구축 사업 금액은 크지 않지만 향후 전국민의 온·오프라인 통합형 신원인증 수단이 될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의 편의성·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시범 사업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우수 입찰평가를 받고도 수주를 포기한 아이티센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을 수 있다.

지난달 정부가 디지털 뉴딜 추진을 명분으로 확보한 추경예산 중 행정안전부의 1조6000억여원은 이번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비를 늘려 주진 않는다. 향후 이 분야에 국내 디지털 생태계 활성화와 분산 신원증명(DID) 기술 국제 표준화라는 기대에 맞는 예산을 쓸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