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활용한 디지털 신분증 사업... LG CNS-라온시큐어 등 DID 주요 업체 참여
Koiners다음 블록체인

블록체인 활용한 디지털 신분증 사업... LG CNS-라온시큐어 등 DID 주요 업체 참여

강일용 기자 입력 : 2020-06-01 15:18:40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정부의 모바일 신분증 사업이 3년에 걸쳐 진행된다. 공무원증, 장애인증, 운전면허증을 차례대로 모바일로 전환하는 이번 사업을 두고 DID(분산신원증명)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국가 신분증이라는 우수한 사업 사례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국내외 신원인증 시장에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발주한 DID 기반 모바일 신분증 구축 1단계 사업자가 오는 5일 선정된다.

DID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개인정보 관리주체를 정부·회사에서 개인으로 이관하면서, 동시에 데이터 위·변조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이다. 개인정보를 이용자 단말기에 저장하면서, 정부·회사는 개인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았다는 증명만 해주는 원리다. DID와 생체인증 기술을 결합하면 이용자는 기존의 번거로운 신원인증 절차 없이 간단한 생체인증만으로 빠르게 각종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지온마켓리서치는 전 세계 DID 시장이 연평균 80%씩 성장해 2024년 34억5400만 달러(약 4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에서도 병무청, 경상남도, 세종시 등 정부 기관과 지자체가 DID를 활용한 디지털 신분증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행안부는 올해 공무원증, 2021년 장애인증을 거쳐 2022년 운전면허증과 같은 일반 신분증을 DID를 활용해 디지털 신분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디지털 신분증은 신원인증이나 출입통제에 필요한 정보가 QR코드 등 디지털 형태로 잠깐 노출되었다가 폐기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일반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갖기 때문에 정부 홈페이지나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서 신원인증을 할 때 공인인증서 대신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행안부가 이번에 발주한 사업은 공무원증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로, 사업비 17억6000만원 수준의 소규모 공공 사업이다. 하지만 정부는 국가 신분증을 디지털로 전환한다는 사업의 중요성과 3년에 걸친 사업 일정에 차질이 생기면 안 된다는 점을 고려, 100억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임에도 대기업 참여 제한을 풀고 국내 DID 업계의 참여를 유도했다.

공공 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업 발주에는 LG CNS-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을 포함해 두 군데의 컨소시엄이 입찰 의향을 밝혔다. LG CNS는 서비스 구축 사업자로, 라온시큐어는 기술 사업자로 참가한다. LG CNS는 국내 최다 공공 사업 참여 경험을 살려 3년에 걸친 프로젝트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라온시큐어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인 이오스(EOS)를 DID에 적합하게 전환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을 활용해 블록체인 환경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위·변조 및 도용 우려가 있는 기존 신분증보다 훨씬 안전하고 편의성이 높은 모바일 신분증이 상용화되면, 오프라인에선 기존 신분증으로, 온라인에선 공인인증서로 신원을 증명하던 이원화 체계가 모바일 신분증 하나로 통합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