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보고서] "비은행 PF대출 위험노출액 115조원대…구조조정 여건 마련해야"
Koiners다음 종합

[금융안정보고서] "비은행 PF대출 위험노출액 115조원대…구조조정 여건 마련해야"

배근미 기자 입력 : 2023-03-23 13:41:32

[사진=아주경제DB]

 

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이 115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은행권 내 PF대출 연체율 등 부실 위험이 높아지고 부동산 경기가 악화될 경우 부동산PF 채무보증 관련 규모가 큰 건설사들과 이들이 시공 보증한 PF사업장의 유동성 충격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비은행금융기관의 부동산 PF 리스크 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비은행권 전체(상호금융 포함, 새마을금고 제외)의 부동산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문 별로는 대출을 통한 위험노출액이 91조2000억원, 채무보증을 통한 위험노출액이 2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비은행권 가운데서도 여전사와 저축은행, 상호금융이 수익성 제고를 위해 PF 등 부동산 익스포저를 빠르게 늘렸다. 2017년 말 대비 지난해 9월 말 부동산 및 건설업 대출 규모는 여전사가 4.2배, 저축은행 3.4배 늘어났고 단위농협과 신협 등 상호금융 3.1배, 보험업권은 1.7배 확대됐다.

특히 부동산PF 대출 관련 자산건전성은 2금융 뿐 아니라 금융업권 전반에 걸쳐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증권사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지난해 9월 말 8.2%로 4.5%포인트 상승했다. 여전사는 0.5%에서 1.1%, 저축은행은 1.2%에서 2.4%, 보험은 0.1%에서 0.4%로 올랐다.

비은행권이 참여한 PF사업장의 리스크 수준은 지난 2020년 말 이후부터 전 업권에 걸쳐 높아졌다. 부동산가격 하방압력, 사업진행 정도, 시공능력, 사업형태(용도) 등을 토대로 산출한 사업장별 종합 리스크 평균 수치는 지난해 9월 67로 2020년 53.7, 2021년 58에 이어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2021년부터 본격화된 부동산가격 하락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건설 및 부동산업의 경영환경 악화가 영향을 미친 데 따른 것이다. 

한은은 지금의 부동산 경기 위축이 장기화될 경우 사업이 중단되거나 부실화되는 PF 사업장이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의 자본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상장 건설기업 중 32개 업체가 PF대출 및 유동화증권에 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2배를 초과하는 PF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고 자기자본의 5배가 넘는 부동산 우발채무를 지고 있는 기업은 10%에 달한다.

한은은 "PF대출과 대출유동화증권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은행권의 부동산PF 리스크 관리에 유의하고 민간 중심의 원활한 구조조정 여건을 마련해 부실 우려 PF 사업장의 정리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이어 "일부 PF사업장 부실이 시장 전반의 심리 위축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당국-시장 간 소통에 유의하고, 건설업계의 자구 노력을 전제로 정책지원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