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잇는 차세대 발사체에 2조 투입... 2031년엔 달로 향한다
Koiners다음 모바일

누리호 잇는 차세대 발사체에 2조 투입... 2031년엔 달로 향한다

이상우 기자 입력 : 2022-05-09 12:00:00
  • 과기정통부, 누리호 후속 차세대 2단 로켓 개발사업 예타조사 진행

  • 체계종합기업 사업 참여해 독자적 개발역량 확보...부품도 국내 조달

  • 차세대 발사체 개발 완료 시 첫 임무로 2031년 달착륙선 발사

누리호 발사장면[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돼 5월부터 본격적인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후속사업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총 9년간 1조9330억원이 투입된다. 차세대 발사체는 액체산소-케로신 기반 2단형 발사체로 개발된다. 1단 엔진은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5기가 하나로 묶여 작동하고, 재점화, 추력 조절 등 재사용 발사체 기반 기술이 적용된다. 2단 엔진은 10톤급 다단연소사기클 방식 액체엔진 2기로 구성되고 다회점화, 추력 조절 등 기술이 적용된다.

지난해 발사한 누리호는 3단 발사체로, 1단은 75톤 4기, 2단은 75톤 1기, 3단은 7톤 1기로 구성됐다.

2030년 첫 발사를 목표로 하는 차세대 발사체는 개발 단계부터 우주기업 육성을 통한 우주강국 진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우선, 설계부터 최종 발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추후 선정될 체계종합기업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수행한다. 정부는 이러한 산‧연 공동 개발을 통해 기업이 사업 종료 이후 독자적 발사체 개발 역량을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우주기술 개발 분야 부품기업 육성을 위해 일부 해외 도입이 불가피한 것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국내 생산 부품을 활용하여 공급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향후 민간 우주개발 시대에 대비해 추진하는 민간 주도 선행기술 연구개발에서는 산업체를 중심으로 선제적인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선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과 함께 추후 차세대 발사체 개량과 고도화에 활용될 핵심 기술 분야를 선별해 선행 연구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발사체 개발 사업 특성상 미래 기술에 대한 기술 개발을 병행해 우주 선진국과 기술 간극을 좁히는 전략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우리나라는 지구궤도 위성뿐만 아니라 달, 화성 등에 대한 독자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개발된 차세대 발사체를 활용해 2030년 달 착륙 검증선을 발사하고 성능을 확인한 후 본격적인 첫 임무로 2031년에 달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설계 단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발사체 개발 역량을 제고하는 데 본 사업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앞으로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